ETRI에서 발행하는 주간 기술동향에서 케이블 모뎀관련 기사 내용중 일부입니다.
------------------------------------------------------------------------------------------
나. 헤드엔드내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중앙처리장치는 (그림 3)과 같이 데이터채널제어장치, 주파수변환장치, 신호분배장치로 구성되며, 이 장치는 10BaseT 랜케이블로 허브를 통하여 헤드엔드에 구성된 LAN에 접속되며, 이 LAN을 통하여 망관리장치와 통신을 하고, 가입자에게 전송되어야 하는 신호는 CATV신호로 변환하여 CATV하향신호를 케이블모뎀에 전송하며, CATV상향신호로 수신된 케이블모뎀의 데이터를 헤드엔드랜을 통하여 망관리장치, 라우터를 통하여 인터넷에 전송한다.
○ 주파수변환장치: 헤드엔드장치인 데이터채널제어장치와 케이블모뎀간 또는 케이블모뎀과 다른 케이블모뎀들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위한 것으로, CATV의 헤드엔드에 사용되며, 상향주파수를 하향주파수로 변환하는데 이용된다. 이것은 주파수 변환시 다른 케이블서비스에 방해되지 않고, 지정된 6MHz의 대역폭 내에서 수행되게 하며, 사용 가능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250kHz단위로 주파수의 조정이 가능하다.
- 상하향 2개의 CATV 6MHz 채널 사용
- 입출력주파수 조정 가능
- RF 출력 신호레벨 조정 가능
○ 데이터채널제어 장치: 케이블모뎀들에 대한 기준신호를 발생하여 케이블모뎀들이 하향주파수와 상향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망관리장치로부터 케이블모뎀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케이블모뎀들이 정상적으로 인터넷에 접속되게 한다. 또한 망관리장치로부터 CATV작동변수(입출력 스트림주파수)를 수신하여 이를 주기적으로 하향채널에 내보내며, 네트워크상의 케이블모뎀들이 이 변수들을 수신하여 자체 조정하도록 한다.
- 케이블모뎀에 주기적인 기준신호 및 정보 전송
- 망관리장치와 연동하여 케이블모뎀의 정보 전송
- 케이블모뎀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헤드엔드 LAN에 전송
- 케이블모뎀을 인터넷라우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
- 6MHz CATV 상향채널 및 6MHz하향채널 사용
- 6MHz CATV 하향신호를 10 ~ 30Mbps 디지털데이터로 변환
- 2 ~ 10Mbps 디지털데이터를 6MHz CATV 상향신호로 변환
○ 신호분배장치: 데이터채널제어장치와 주파수변환장치에 들어가는 신호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신호를 중앙제어장치에 분배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상향신호를 주파수변환장치로 보내주고, 감쇄기를 거쳐서 데이터채널제어장치에 알맞은 신호레벨로 보내준다. 데이터채널제어장치에서 나오는 하향신호를 감쇄기를 거쳐서 주파수변환장치로 보내고, 가변감쇄기를 거쳐서 기존의 CATV망에 필요한 신호레벨로 망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 망 관리장치의 구성
망 관리장치는 펜티엄급 PC와 이 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처리장치 및 케이블모뎀의 통신 파라미터 및 케이블모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Bootp 프로그램, 파일 전송 프로그램 및 망 관리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 망 관리장치 = Network 서버 + SNMP 서버
- Network 서버: IP Address, 망 파라미터, 상ㆍ하향채널, Access Authorization
- SNMP 서버: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서버
- IP Address와 Mask변수 지정/시큐리티 변수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접근 권한
- Network 파라미터 지정
- IP Address와 경로 설정 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