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최상의 선택 NanoSpeed PRO PCMCIA 무선랜카드

 


















 


제품개요 :




변하는
인터넷환경의 종착역이라 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제는 인터넷이 없으면 업무가 불가능한 시대가 도래하였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접속 환경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를 바탕으로 KT의 네스팟을 비롯한 공중망 무선랜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있고 일반 사무실 및 SOHO
업종, 대학의 캠퍼스도 서서히

       유선에서 무선으로 확장되는 추세입니다.



제품은 2002년 10월에 새롭게 업그레이드하여 출시되는 제품으로 최신 펌웨어와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기능적으로는 최고가의 제품과도 차이가 없으며 가장 큰 애로

        사항인 접속의 어려움까지도 완벽히 해결한 제품입니다.

       
아울러 가격도 당분간 파격적인 금액으로 공급하오니 무선랜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현란한
광고문구로 인해 값비싼 제품으로 시도하기
보다는 본 제품으로 경험을 하시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공을
초월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무선랜구축으로 귀하의 경쟁력을 높여 보시기 바랍니다.




 

 









 








 






























 
















 


NanoSpeed
무선 LAN Card는 PCMCIA 형식의 IEEE 802.11b Wireless LAN 표준규격의 제품으로 CSMA/CA방식을 채택하여 높은 DATA
통신품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시킨 제품으로서 별도의
케이블이 없이도 컴퓨터간의 통신이나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되어 집니다.



 






 




이동
업무가 많은 컴퓨터 사용자 (메가패스 "NESPOT" 및 하나로 "ANYWAY"등 공중 무선인터넷과 완벽호환)

대학의
강의실 및 캠퍼스와 같은 대단위 공공장소 (현재도 다수의 대학캠퍼스에 무선랜이 지원되고 있음)

공장건물

또는 건설현장 등 유선의 설치가 힘든 곳 (은행 및 관공소에도 고객서비스차원에서 앞다투어 설치 中)

대형
경기장 (특히 2002 월드컵에서 전국의 경기장마다 서비스가 되었음)

 


 






 




11Mbps
속도의 초고속 무선 (Wireless)연결

주파수
대역 2.4GHz ISM band를 사용하고 IEEE 802.11b 무선랜 국제표준규격 준수

간편한
설치와 강력한 "SiteSurvey"기능으로 초보자도 최대한 활용 할 수 있는 편리성 확보

최고의
송수신감도를 자랑하는 일체형 안테나를 탑재한 안정적인 디자인

Windows
95/98/98SE/ME/2000/XP 에서 사용 가능

 


 















 


NanoSpeed PRO
무선 랜카드는 유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힘든 장소에서 유선 공사 없이 쉽게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무선 제품입니다.

아울러 별도의 케이블이 없어도 AP가 설치된 장소라면 컴퓨터간의 통신이나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호운영체제 호환성을 처음부터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또한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로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대폭 확장하여 한국의 무선인터넷 방식(13 CH)을 완벽히 지원합니다.

 










 

제품사양

























































































제 품 명



NanoSpeed

PRO Wireless LAN
Card





PCMCIA Type II Release 2.1



안 테 나


내장형
diversity patch antenna





CSMA/CA IEEE 802.11b Standard





IEEE 802.11b compliant with enhanced roaming features



주파수대역



2.400 GHz ~ 2.497GHz ISM Band



채널지원



14
channel



무선방식


직접 주파수 대역 확산방식(DSSS)



변조방식



CCK(11M & 5.5M), DQPSK(2M), DBPSK(1M)



보안기능



64/128 bit WEP Encryption



네트워크



Infrastructure Mode , Ad-hoc Mode



수신감도



Min. -80dBm at 2Mbps, Min. -76dBm at 11Mbps



소모전류


송신
: 최대 380mA, 수신 : 최대 215mA



출력파워



Max 100mW – Typical 12dBm



동작전압



DC
3.3V ±5%



운영체제



Windows 95(OSR2), 98, Me, 2000, XP




동작시
0 C ~ 55 C, 보관시 : -20 C ~ 65 C





95% non-condensing



외관치수



115 X 54 X 5.5 (mm)





40g




제품지원




www.nanospeed.co.kr




제품
메뉴얼 다운로드 :
NanoSpeed PRO Manual Download








 



















 




NanoSpeed PRO와 관련된 문의 사항 중 고객 분들께서 자주 질문하시는

항목들만 요약하여 알기 쉽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이곳에서 먼저 확인하신 후 게시판이나 메일을 이용해주세요.













 






 




















































































1


공중망(네스팟)서비스의 사용여부?








2


윈도우XP의 무선네트워크 지원여부?








3


무선랜의 통신가능 최대거리는?








4


NanoSpeed PRO의 채널 수는?








5


AD-hoc과 Infrastructure의 차이점은?









6


가정용 ADSL에 접속하여 여럿이 사용하려면?









7


무선랜은 RF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시 보안문제?









8


다수의 AP를 설치 시 Channel간의 간섭 대처?









9


타 업체 AP 및 카드와 접속이 가능한지요?









10


무선랜 장비가 사용하는 대역폭은?



























질문 제목

공중망(네스팟)서비스의
사용여부?


답변 내용








메가패스 네스팟(NESPOT)을 비롯한
공중망 서비스와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특히 본제품의 경우 강력함 SiteSurvey(AP Scan)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설치된 AP의 SSID를
확실히 모르더라도 PC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무선랜장비를 검색하여 선택적으로 연결
이 가능하므로 초보자라도 매우
용이하게 네트워크연결이 가능합니다..






















질문 제목

윈도우XP의
무선네트워크 지원여부?


답변 내용








윈도우 XP에서도 물론 지원됩니다..



윈도우 XP에서는 이전의 OS(95~2000)과는 달리 무선랜을 지원하는 기능(Wireless Zero
Configuration Service)가 탑재
되어 있으며, 만약 사용중인 랜카드가 이를 지원한다면 상당히 편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랜카드의 펌웨어와 드라이버가 이를 지원하여야 하지만 상당수의 랜카드는 설정은 되지만
이를 지원하지 않고 있으므로 구입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XP를 지원하는 랜카드의 경우 드라이버 설치 후 네트워크속성을 보시면 "무선 네트워크 연결" 이라고 표시되며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선랜카드와 마찬가지로 "로컬 영역 연결" 으로만 표시되며 세부적으로 여러 항목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SSID를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면 접속하는데는 어려움이 없으나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본 제품(NanoSpeed PRO)는 최신의 펌웨어와 드라이버를 탑재하여 위의 기능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 제목

무선랜의 통신가능
최대거리는?


답변 내용








IEEE 802.11b의 규격을 기준으로
제작된 무선랜 카드의 이론적인 최대 통신거리는 300m 정도
입니다..

물론 AP에 특수한 안테나를 설치하면 수십km까지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환경의 차이의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수치는 실외를 기준으로 전파장애요소가 전혀없는 실험실수준의 수치이며 실내에서는 조건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사무실 내부에서는 벽이 없고 AP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범위에서 30~50m정도이고 가정에서는 방과 방사이의 벽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보다 더 줄어들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가정의 경우 방문이 대부분 거실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AP를 거실에 설치하면 통신범위를 가장 높일수
있으며 PC도 방의 바닥보다는 바닥에서 30cm이상 떨어졌을때 가장 양호한 수신감도
가 나타납니다..

참고로 필자는 화장실에서도 인터넷이 가능합니다..




















질문 제목

NanoSpeed
PRO의 채널수는?


답변 내용



NanoSpeed랜카드의 지원채널수는
14개입니다..




본 제품을 비롯한 802.11b 11M 의 무선랜에서는 민간에게 개방된 2.4GHz 대의 ISM band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민간에게 개방되어 허가없이 사용이 가능한 관계로 채널간 간섭이나 혼선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IEEE
802.11b 규격에는 채널에 관한 규약이 있으며 한 장소에서 여러 AP(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몇개의
채널로 분리, 규정했습니다. (2.4 ~ 2.484GHz 대역의 14개 채널)

그런데 문제는 각 나라마다 총 14개의 사용가능 채널중에 몇개의 채널을 쓸 수 있는가에 대해서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경우 13개 채널을 다 사용하고, 미국은 일부 군사 목적등 기타 용도로 쓰기 위해 11번
채널까지만 사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3번 채널까지 쓸수 있습니다. (아래 표 참조)



따라서 KT 넷스팟을 비롯한 일반 공중망 무선랜 서비스의 경우 설치된 AP가 12번 혹은 13번 채널로 설정 됐을
경우에는 미국에서 도입된 11채널 지원 랜카드로는 서비스 접속이 이뤄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공중망 무선 랜 서비스를 원하는 이용자라면 랜카드 구입 전에 13채널 지원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일부 수입품은 11ch만 지원함)

 




[표 : 국가별 사용 채널]








































































































2003-01-15 19:34:31
876 번 읽음
  총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이용 '03.2.6 2:17 PM 신고
    오늘 2시간전에 받아 사용중인데 괜찮네요..아직 최대속도는 test를 못했는데 나중에 몇메가 까지 나오는지 Test해볼 작정입니다.그냥 케이블모뎀에 붙이니 한 4Mbps정도 나오네요..(유선속도가 다 나오는 것 같습니..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

채 널

중심주파수

한 국

일 본

유 럽

미 국

캐나다

프랑스

스페인

1

2412 MHz






2

2417 MHz






3

2422 MHz






4

2427 MHz






5

2432 MHz






6

2437 MHz






7

2442 MHz






8

2447 MH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