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010 통합에 대한 정통부 이상철 장관님께로의 민원글..

 
지금 이글은 민원으로 장관님께 제가 좀전에 직접 질문한 사항입니다.

안녕하세요..
전 올해 27살이 된 대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신문과 인터넷 뉴스등에서 모든 이동전화를 내년 1월부터 010번호로 통합시키신다는데..
어느쪽의 이익을 생각하시고 그런 결론을 내리신건지..
그 통합시키신다는 이동전화를 직접 몸으로 느끼며 사용하는 일반 시민에게는 의사를 물어보셨는지..
특히 011 사용자에게는 항의가 들어올거 예상하고 계셨는지 정말 알고싶습니다.
나름대로 저도 지금 011 번호로 7년정도 쓰고 있는데요. 번호에 대한 자부심 같은건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011,017 이동전화는 셀룰러폰이고 016,018,019는 PCS폰이라는거 아시지요?

===========================================================
011.017등의 기존 이동전화들과 97년에 새로 생겨난 016,018,019 등의 PCS는 모두 셀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ess)방식의 디지털 무선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등 공통점도 많습니다. 이들의 결정적인 차이는 011,017 등이 800M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반면 016,018,019등은 훨씬 높은 1.8G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차이로부터 각각이 지니는 장단점들이 달라집니다.

먼저 011,017등의 기존 이동 전화들이 사용하는 800MHz 대역은 전파 도달 거리가 길기 때문에 날씨나 건물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주파수 대역이 낮아 다른 전파기기들로부터 간섭을 받을 수 있고 대역폭이 좁아 많은 가입자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016,018,019등 PCS 서비스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다른 전파기기로부터의 간섭이 적고, 넓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으므로 인터넷이나 팩스와 같은 부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을 필요로 하므로 전지 소모가 적고 비용 부담도 적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그러나 PCS 서비스는 전파의 직진성은 강하지만 도달 거리가 짧기 때문에 같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고속주행시 통화가 자주 끊긴다거나 높은 건물이나 산으로 주위가 막힌 곳에서는 통화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현재 우리 나라와 같이 막 PCS 서비시를 시작한 상황에서는 기지국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문제가 중첩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출 처 : 알수없음
===========================================================
잘 읽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우선 위에서 셀룰러폰의 단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러나 주파수 대역이 낮아 다른 전파기기들로부터 간섭을 받을 수 있고 대역폭이 좁아 많은 가입자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그러나 PCS 서비스는 전파의 직진성은 강하지만 도달 거리가 짧기 때문에 같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고속주행시 통화가 자주 끊긴다거나 높은 건물이나 산으로 주위가 막힌 곳에서는 통화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현재 우리 나라와 같이 막 PCS 서비시를 시작한 상황에서는 기지국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문제가 중첩돼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03-01-24 03:41:38
607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