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소프트
  • 호스팅
  • 공동구매
  • 이벤트
  • 팅플러스
  • 설문조사
  • 생각들
  • 전체보기


한국통신 업로드 속도제한에 대한 토론방 오픈

 


케이블모뎀 서비스의 경우 업로드 속도가 1Mbps 이상 나오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사업자들은 P2P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서 장비에 걸리는 부하가 높아진다는 이유로 2001년 하반기부터 업로드 속도제한을 실시하였으며, 지금도 어떤 업체에서는 업로드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는 사용자의 경우 더 강하게 속도제한을 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 후 사업자들은 ADSL의 한계성을 벗어나고자 VDSL를 시작하였고, VDSL서비스는 상하향 동일한 서비스라고 이야기를 하면서 사용자를 유치하였지만, 근래에 들어서 상향대역 속도를 대폭 축소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들이 눈치를 채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네스팟도 업로드 속도제한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나날이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량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장비를 투자할 수 없는 사업자의 입장이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업자들은 이용자와 처음 계약할 당시의 서비스를 계속 꾸준히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지 않은가? 이번 KT의 VDSL 서비스의 업로드 속도제한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신뢰를 깨뜨린 문제로 생각하고 있다.

몇 년전 속도에 대한 이용자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아 정통부에서는 사업자들에게 속도에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명시를 하지 못하게 하여, 사업자들은 약관이나 그 어디에도 속도에 대한 설명이 없어 소비자들은 품질에 대하여 보장을 받을 수 없는 상태이다. VDSL 업로드 속도제한처럼 인터넷 서비스 속도는 사업자들의 마음대로 할 수 있는것이 현실이다.

속도제한에 대한문제와 서비스 품질보장에 대하여 비씨파크 토론방에서 이야기해봅시다.

비씨파크 토론방 바로가기

2003-09-13 17:04:20
7294 번 읽음
  총 3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황은수 '03.9.13 9:31 PM 신고
    :)*께이띠 발로 차버릴꺼야! ↓댓글에댓글
  2. 2. 최성호 '03.9.13 10:00 PM 신고
    :)*케이티 뿐만 아니라 모든 사업자들은 상향제한만 할것이 아니라,,하향제한도 해야 한다,,
    즉, 계약 할때 최고 속도와최저 속도에 대해 정확히 소비자에게 알려 주고, 최저 속도가 안나오는 사람에게도 보상 해 달라~~~~~ ↓댓글에댓글
  3. 3. 정운교 '03.9.14 1:18 AM 신고
    :)*저그림.. 무슨애니죠? ↓댓글에댓글
  4. 4. 최재성 '03.9.14 2:16 AM 신고
    :)*귀를 기울여도였을겁니다... ㅋ 암튼 귀를~~ 어쩌구인데,,,,, 확실한 제목은 기억안남;;
    귀를 기울여도같긴한데;;ㅎㅎ 본지 얼마 안됬는ㄴ데 기억이 가물가물;; ↓댓글에댓글
  5. 5. 손덕진 '03.9.14 6:44 AM 신고
    :)*귀를 기울이며(오타일까 ㅡ.ㅡ)입니다 지브리스트디오 작품이죠 미야자키하야오 선생님의작품이죠 ↓댓글에댓글
  6. 6. 김승모 '03.9.14 7:27 AM 신고
    :)*그냥 우리 인터넷 다 끈고...모뎀쓰죠 ㅜ ㅜ ㅋ ↓댓글에댓글
  7. 7. 이연준 '03.9.14 9:47 AM 신고
    :)*그래도 모뎀은 좀...쿨럭-_-;;; ↓댓글에댓글
  8. 8. 정진곤 '03.9.14 12:04 PM 신고
    :)*저런 상술은 KT뿐만 아니라 다른 업체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최근의 광고를 보면 신비로의 '샤크'와 하나로 통신의 '하나포스'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CF를 방영하던데.. 그렇지 않은 신비로와 하나로에 비해 상당히 공격적인것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댓글에댓글
  9. 9. 정진곤 '03.9.14 12:06 PM 신고
    :)*아마도... 대기업의 횡포랄까.. 뭐, 그런 느낌 이었습니다..
    ps.그리고 위 그림은 지브리 스튜디오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이 맞구요.. 제목은 '귀를 기울이면(耳を すませば) ' 입니다. ↓댓글에댓글
  10. 10. 윤지상 '03.9.14 12:11 P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11. 11. 김정훈 '03.9.14 12:43 PM 신고
    :)*어쩐지 업로드 속도가 안나오드라 맨날 소리바다핸는데....
    그렇다구 제한을하냐?
    미친넘들 그러길래 같이 죽을짓을 왜해! ↓댓글에댓글
  12. 12. 김아름 '03.9.14 2:43 PM 신고
    :)*그럼 나는 가입 당시 속도 측정갑 그상태는 유지 시켜 줘야 하는것 아뉜가~!?13M 가 이니간 쩝 가서 전화나 하로 으흐흐흐 ↓댓글에댓글
  13. 13. 정성훈 '03.9.14 3:56 PM 신고
    :)*1M이상 나오는 사람들이 무슨 말들이 많아욧!
    전 1M이 안나와 미치겠는데... ↓댓글에댓글
  14. 14. 최충봉 '03.9.14 5:10 PM 신고
    :-(*처음과같이 업다운9M 같아야지 부하가걸린다고 ..쯔쯔 속도제한 말도안되 CF도 바꾸어라
    업다운4M가뭐냐 이게무슨 VDSL 이야..정신차려 한통... ↓댓글에댓글
  15. 15. 서현교 '03.9.14 7:51 PM 신고
    :)*귀를기울이면 인데 노래는 칸츄리로드 패러디한 아스팔트로드가 인상적이죠 ㅎㅎ ↓댓글에댓글
  16. 16. 김현이 '03.9.14 9:34 PM 신고
    :)*지금 저희집 VDSL 속도도 개판입니다....인터넷 다운받을때 속도는 100k~ 300k 정도 밖에 안되는군요...이래서야 ADSL 과 다를게 없지 않습니까! ↓댓글에댓글
  17. 17. 최재학 '03.9.14 11:52 PM 신고
    :)*특별히 회사 비방하는건 아니지만.. 제가 3년에 걸쳐 KT 두루넷 최근의 데이콤을 써본결과.. 이용자가 많다고 좋은 써비스는 아닌거 같더군요.. 장비가 좋아짐에따라.. 인력이나 서비스와는 상관없이 속도만 보자면 Adsl보다는 Cable가 낳은거 같고.. 특히 한통은 넘하더 ↓댓글에댓글
  18. 18. 최재학 '03.9.14 11:54 PM 신고
    :)*결론부터 애기하자면.. 굳이 다쓰는걸 쓸이유는 없다는것입니다. 지역특성에 맞게. 쓰는것두.. 하나의 요령이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써본결과 다똑같다는건아니지만.. 우리지역은.
    KT는 업이 60~65 두루넷은 65~70 데이콤은 최근에 달아서 그런지.. 80~95까지 나 ↓댓글에댓글
  19. 19. 최재학 '03.9.14 11:55 PM 신고
    :)*나오더군요.. 가격으로나 컴퓨터에서 사용편리성이나.. 케이블이 좋구.. 속도두 좋다고 전 생각됩니다. ^^* 그럼 좋은 리플되었길 ~~ ↓댓글에댓글
  20. 20. 도성진 '03.9.15 6:34 AM 신고
    :)*전 현제 살고있는곳 이사 오기 전까지 메가페스 썼었는데, 2년 약정이라 마지 못해 썼었죠.
    이사 온 후 약정기간 2년을 채우고 바로 해약.. 지금은 아이시티로 씁니다. 속도 만족 가격 만족.. 다운 30메가, 업 13메가 한달 27500원, 단점이라면 대림, 부영아파트만 ↓댓글에댓글
  21. 21. 박상면 '03.9.15 6:51 AM 신고
    :)*상술아이가 ..소비자들이끝까지합심하여...걸고넘어져야한다고생각함 ↓댓글에댓글
  22. 22. 김요한 '03.9.15 10:19 A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23. 23. 김종현 '03.9.15 12:20 P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24. 24. 김종현 '03.9.15 12:24 PM 신고
    :)*속도제한은 인터넷사용자에대한 굳이분명이하자면 1달정액비와 수년간에 약정서비스를 무효화시키는 일종의 무시 속도제한에 대해서 과연얼마나알고잇을지에 대한 그들에 대한 우리들을 무시한다는 생각입니다.이것저것들 전부 속도제한한다고 따라가는거같군여 ↓댓글에댓글
  25. 25. 임경준 '03.9.15 1:01 P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26. 26. 장재영 '03.9.15 3:33 PM 신고
    추천! +100점! ↓댓글에댓글
  27. 27. 고경서 '03.9.15 5:46 PM 신고
    :)*딴소리인데..컨츄리로드를 콘크리트로드로 바꾼거 아닌가요? -_-;; 괜한 댓글 같군..ㅋㅋ ↓댓글에댓글
  28. 28. 김원진 '03.9.17 10:30 PM 신고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번에 VDSL를 달았는데 저희 집은 1.29M~2.00M까지 나옵니다..
    한국통신을 그렇게 보시면 안됩니다.
    저는 한국통신이 맘에 듭니다. 하지만 몇 사람들은 좋아 하지는 않습니다만 그래도 저는 한국통신을 사랑합니다..
    님컴퓨터사 ↓댓글에댓글
  29. 29. 박용수 '03.9.18 1:54 AM 신고
    :-)*어쩔수 없이 한통쓰는데 내 살고있는곳에 오로지 한통... 경기케이블 딱두개 미챠...얼마전 설로공사했다구 좋아진줄알았더만 더개판 a/s기사님 무지고생하구 속도오락가락/ 핑테스트 결과 개판...노후장미나좀교체해가믄서 vdsl이구뭐구좀하지 한통각성좀해요 짱나니 ↓댓글에댓글
  30. 30. 최동호 '03.9.19 10:45 PM 신고
    :-)*ㅡㅡ;귀를귀울이며가 어케 미야자키 작품이나.. 콘도 요시후미 작품이지 뷁 ↓댓글에댓글
  31. 31. 최동호 '03.9.19 10:48 PM 신고
    :-)*KT에서 전체적으로 속도제한을 하는것이 아닙니다.
    각 도시마다 한통에서 가입자는 많은데 서버늘리긴 돈이 아깝고 부하거 걸려서 자주 다운되면 속도제한을 걸어버립니다. 속도제한을 적용한곳이 있는가 하면 하나로 통신과의 경쟁을 위해서 라이트 요금으로 엄 ↓댓글에댓글
  32. 32. 최동호 '03.9.19 10:50 PM 신고
    :-)*?엄청난 속도를 지원하는 곳도 있습니다. 상담을 위해 메가패스 본사로 지원하여봤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메가패스본사의 정책을 무시하고 자체적으로 가입자 유치를 위한 따로노는 분할정책이 많습니다. ↓댓글에댓글
  33. 33. 황경남 '03.10.1 5:02 AM 신고
    :-)*최재학님이 좋은 글 써주셨네요...지역특성...중요한 부분이죠.
    아파트라면 지역 인터넷 좋은 것도 많고 꼭 대기업 말더라도 잘 알아보고 결정을 하면 금전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좋겠죠...
    아무쪼록 일반주택까지 안정적이고 좋은 서비스들 많이 했으면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