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소프트
  • 호스팅
  • 공동구매
  • 이벤트
  • 팅플러스
  • 설문조사
  • 생각들
  • 전체보기


명언을 바라보는 또다른 시각 1탄! 호랑이는 죽어서 멀 남겨?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이 말을 초등학교때부터 듣은 기억이 나네요.


학교에서는 이름을 남기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를 해야한다고 가르쳤던거 같습니다.


 


그러나... 생각을 바꿔서 생각해보면...


사람은 이름을 남길려고 죽는것도 아니고...


호랑이가 가죽을 남길려고 죽는것도 아니고...


 


다시 말해서...


사람은 이름을 남기지 않기 위해서 사는것도 아니고...


호랑이가 살려고 가죽을 남기지 않는것도 아니고...


 


먼가 좀 이상하다는 생각 안드시나요?


죽으면 멀 남기긴요. 한줌의 재만 남더군요...


이름이 남아봤자 죽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저 명언이라고 내려오는 저 말...


아마도 정상적인 상태에서 한 말은 아니것 같습니다.


 


명예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이 죽기직전에 남긴 말이거나...


죽음을 앞둔 사람들에게 용기를 불러일으키게 한 말인거 같습니다.


 


정상적인 사람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사람은 행복하게 살기위해서 노력한다고 말했을거 같네요.



2004-07-05 05:45:58
2699 번 읽음
  총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현덕선 '04.7.5 7:22 AM 신고
    :-)*효의 기본은 부모님이 주신 신체흫 해하지 않는 것이고, 효의 완성은 입신하여 부모님이 주신 이름을 널리 떨치는 거라 했던가여?
    박병철님의 글을 읽고나니... 이해도 되고 그 흔한 속담이 여러 시각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새삼 느껴집니다 ↓댓글에댓글
  2. 2. 현덕선 '04.7.5 7:25 AM 신고
    :-)*제가 지나치게 긍정주의자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글에서 왠지 병철님 힘들어하시는 모습이 비춰지네여
    "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고 하져...이승이 다 똥밭은 아니니까... 똥밭을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으니까... 행복할 수 있으니까... ↓댓글에댓글
  3. 3. 현덕선 '04.7.5 7:26 AM 신고
    :-)*모두들 행복했음 좋겠네여~
    전 행복하게 아침밥 먹어야 하기에 이만 줄여야 겠네여~ ^^
    야~~~~~~ 밥이다~ 밥~~~ ↓댓글에댓글
  4. 4. 이인향 '04.7.5 8:01 AM 신고
    :-)*이름을 남기기위해가 아니라... 남긴이름이 좋게 기억되기위해 정도로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댓글에댓글
  5. 5. 심혁성 '04.7.5 8:36 AM 신고
    :-)*한줌의 흙이 되기싫어서..
    옛날 군주들은 썩지않게 인간박재를 했나봅니다.^^ ↓댓글에댓글
  6. 6. 박진철 '04.7.5 1:52 PM 신고
    :-)*호랑이는 가죽때문에 죽고....

    사람은 이름때문에 죽죠.....황산벌 中 계백장군 마누라 명언... ↓댓글에댓글
  7. 7. 강민수 '04.7.5 9:58 PM 신고
    :-)*역사를 보면 그야말로 역대 유명한 조상들..다 이름 남아 있잖아요..그사람들
    역사 숱하게 배우잖아요........이름 남아서.........정말 인류 망할때까지도 배울탠데..무시 못하죠 ↓댓글에댓글
  8. 8. 최종명 '04.7.5 10:31 PM 신고
    :-)*뭔가 후세의 사람들에게 좋은 의미를 남기는 것도 좋은 일중의 하나입니다. 그 자체를 중요시 하다보기보다는 아마도 뭔가 크게 열심히 해서 귀감이 되길 바라면서 만들어진 말이겠지요.. 한마디로 삶을 충실히 살기를 바라면서 만들어진 말이라 생각합니다. ↓댓글에댓글
  9. 9. 손병서 '04.7.6 5:01 AM 신고
    :-)*님의 꼬집기는 항상 상식깨기에서 시작하나 봅니다.
    그럼에 항상 새롭습니다.
    행복이란 그 말 어쩌면 너무 소소한 일일 수 도.
    어쩌면 너무나도 큰 의지일 수 도
    있으니.어렵습니다.
    호랑이는 가죽 남기려고 하는 바는 없으나, ↓댓글에댓글
  10. 10. 손병서 '04.7.6 5:04 AM 신고
    :-)*우린 호랑이가 가죽을 남겨 주길 바라오
    사람들이 이름을 남기기위해 죽는 경우는
    긴 세월을 살면서 생긴 문화와 전통과 교욱에 세뇌당한거요
    세뇌의 좋은 이유는 획일화에 의한 유지라는 건 알거요
    사람이 이름때문에 죽길 바라는건 ↓댓글에댓글
  11. 11. 손병서 '04.7.6 5:06 AM 신고
    :-)*다른 사람들이 그러길 바라는 겁니다.
    이름에 목숨걸고 최선을 다하게 되면,,
    다른 이들이 이익을 받고 이익은 최대에 다다르죠.
    언제나 엣 말이 가지는 건 전체의 최대 효과를 노리는 것이고
    구세대와 신세대의 싸움이 여기서 생기죠.. ↓댓글에댓글
  12. 12. 손병서 '04.7.6 5:08 AM 신고
    :-)*나이 들면..전체의 최대치가 늘길 바라고
    젊을땐 나 자신의 최대치가 전체의 최대치를 늘린다고 여기고
    나이 든 어른들은 항상 젊은이를 어리다고 여기는 차이도 여기에 있죠
    속담이란 그러하게 따라주길 바라는 하나의 세뇌 방식이요
    교육 ↓댓글에댓글
  13. 13. 김영서 '04.7.6 8:56 PM 신고
    :-)*박진철님 말에 동의 - _-ㅋ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