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IT전문인력 수급해소 방안 모색 간담회

 


진대제 정보통신부장관은 지난 20일 오후 광화문 정통부청사 회의실에서 이공계 기피현상 및 IT인력수급 불일치와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진 장관을 비롯해 중소기업 CEO(최고경영책임자), 대기업 인사담당자, 교수, IT인력수급전망 연구자 등 19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이공계 기피현상의 원인을 직업 안정성 문제 및 홍보부족 등에 따른 것으로 보고 IT인력의 질 향상을 위한 기업의 적극적인 역할과 대학교육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수준을 갖춘 인력채용이 어렵고 연구인력의 수명이 짧음을 지적하고 대학과 기업이 협력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기업이 요구하는 수준의 대학졸업 전문인력의 충당을 위해서는 수요자인 기업이 대학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확한 요구를 제시할 필요와 IT분야 공학교육인증제도 도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진 장관은 이에 대해 대학의 최종고객은 학생이 아니라 기업이라며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공개한다면 대학 교육을 변화시키고 인력수급의 질적 불일치를 해소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 장관은 또 “중소기업의 직업 안정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재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점이라며 중소기업 실정에 맞는 재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통부는 이 날 간담회에서 나온 여러 의견들을 적극 수렴해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2004-08-24 23:59:00
569 번 읽음
  총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1. 정재헌 '04.8.26 5:01 PM 신고
    :-)* 정리해고 순서. 1연구개발직. 2생산직, 3간리사무직, 4영업직. 이중에서 연구개발직과 생산직은 거의 이공계임. 공부하기는 인문계보다 월등히 어렵다. 힘들게 공부해서 대학 나와서 취직해봐야 우선적으로 정리해고를 당하니 누가 이공계를 갈까? ↓댓글에댓글
  2. 2. 정재헌 '04.8.26 5:03 PM 신고
    :-)*인문계에 가서 고시에 붙어서 철법통 끼고 사는 게 개인적으론 훨씬 이익이지여. ↓댓글에댓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