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LAN
무선 LAN은 통신 가능 거리내의 여러 개의 무선 LAN단말로 구성되는「셀」을 단위로 하여 망을 구축한다. 일본의 경우 무선 LAN에서는 두 개의 국내 표준(ARIB 표준)이 규정되어 있으며, 셀의 구성과 유선 LAN과의 접속 형태가 다르다(그림 1).
하나는 이더넷의 일부를 무선화하는 형태로서 백본의 유선망에 친기(親機)를 접속하고, 나아가 PC에 자기(子機)를 접속하여 친기와 자기 사이를 무선화하는 것이다(그림 1의 a). 한 대의 친기와 여러 개의 자기에서 하나의 셀을 구성하는데, 보통 PC와 자기 사이를 이더넷으로 접속하므로 PC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는 없지만, 유선의 이더넷 수준인 10Mbit/s 이상의 전송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형태의 무선 LAN에서는 통상 RCR STD-34에 의해 규정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이 표준에서는 무선 주파수로서 19GHz대를 사용하고 있다. 19GHz대의 전파는 장애물에 차단되기 쉬운 성질이 있어서 원칙적으로 자기와 친기 사이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소형화나 저전력화가 비교적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이 형태에서는 이동해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친기나 자기 모두 거치(据置)형으로 되어 있다.
배선이 필요없는 접속 형태에서는 2Mbit/s로 저속
또하나의 무선 LAN 형태는 하위 망내를 완전하게 무선화하여 PC를 배선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타입이 있다(그림 1의 b). 무선부와 제어부가 들어있는 PC 카드를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한다. 백본의 유선 망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무선 LAN과 유선 LAN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의 설치가 필요하다. 보통은 하나의 게이트웨이와 이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여러 개의 단말로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서라면 PC를 자유롭게 이동해서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로서는 보통 RCR STD-33을 사용하며, ’98년 7월에는 IEEE802.11가 정한 ISO 국제 표준 규격도 받아들였다. 이 표준에서는 무선 주파수로서 2.4GHz대를 사용한다. 이 형태의 무선 LAN에서는 무선 LAN단말만으로 망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망을「ad hoc 망」이라 한다(그림 2). 이 망은 하나의 독립된 셀을 구성하며, 고가의 게이트웨이가 필요없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무선 LAN을 구축할 수 있다.
면허가 필요없고 낮은 비용인 적외선 무선 LAN
적외선은 전파법의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무선장치의 검사와 면허를 받을 필요가 없다. 더욱이, 송수신기에 고주파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낮은 비용의 무선 LAN에 적합하다. 그러나 통신 거리의 증대와 함께 전파가 급속히 약해지기 때문에 원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ISO표준에서는 최대 2Mbit/s의 전송 속도를 실현한다. 적외선 무선 LAN 제품 중에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10Mbit/s를 실현하는 것도 출하되고 있다.
IEEE802.11에서는 이러한 고속화를 목적으로 표준화를 계속하고 있다. 현재 5GHz대에서 20Mbit/s 정도의 무선 인터페이스와 2.4GHz대에서 8Mbit/s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검토되고 있다. 앞으로 국제 표준의 무선 LAN에서도 이더넷 수준의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
일본의 무선 통신 및 방송 업무에 관한 전파 유효 이용을 목적으로 한 사단법인. 전파이용의 상담 업무, 무선 통신 및 방송 시스템의 표준화를 하고 있다. 무선 LAN의 일본내 표준으로서 RCR STD-33과 RCR STD-34를 규정했다. 1998년 7월까지의 ARIB 표준은 주파수와 송신 전력 등 무선 인터페이스의 일부분밖에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제품사이에서의 통신 호환성이 보증되지 않았으며, 또한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LAN의 표준은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98년 5월에 국제 표준으로서 IEEE802.11이 규정한 2Mbit/초까지의 무선 LAN에 관해서 MAC층도 포함한 표준이 ISO 표준으로 성립되었다. 이에 따라서 ‘98년 7월에 RCR STD -33에 대해서 적외선을 포함한 ISO 표준에 준거하기 위한 조건의 추가를 포함하는 개정이 실시되었다. RCR STD-34에 관해서는 대응하는 국제 표준은 현시점에서 존재하지 않으며, 여전히 호환성은 보증되고 있지 않다.
☞ RCR STD-34
ARIB에서 책정된「구내 무선국 19GHz대 데이터 전송용 무선 설비 표준 규격」. 19GHz대를 이용한 무선 LAN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표준화되고 있다. RCR STD-34에 관해서는 대응하는 국제 표준은 현시점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 RCR STD-33
ARIB에서 책정된「소전력 데이터 통신 시스템/와이어리스 LAN 시스템 표준 규격」. 2.4GHz대를 이용한 무선 LAN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표준화되고 있다. 1998년 7월에 ISO 표준에 준거하기 위한 조건이 추가되었다. 그때까지 RCR STD-33에서는 주파수와 송신 전력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일부밖에 규정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제품 사이에서의 통신 호환성은 보증되고 있지 않았다.
☞ IEEE802.11
IEEE가 LAN의 표준화를 목적으로 설치한 위원회(IEEE802 위원회) 부회의 하나. 무선 LAN의 PHY(physical layer device)와 MAC(media access control)의 표준화를 하고 있다.
비씨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 박병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박병철
사업자등록번호 : 114-86-19888 |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3길, 42, 1307호
전자우편 : master@bcpark.net |
(전화전 이용문의 게시판 필수)
전화: 02-534-982구(09:00~18:00) |
팩스: 02-535-155구 |
긴급: 010-9774-988삼
ㆍ저작권안내 : 비씨파크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습니다. 단, 회원들이 작성한 게시물의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비씨파크에 게재된 게시물은 비씨파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게시, 판매, 대여 또는 상업적 이용시 손해배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ㆍ쇼핑몰안내 : 비씨파크는 통신판매중개자로서 상품 주문, 배송 및 환불의 의무와 책임은 각 판매 업체에 있습니다.
Copyright ⓒ 2000-2025 BCPARK Inc.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