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 시장 동향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 시장 동향




이재환* 이윤철** 강회일***


최근 인터넷 이용자 수의 급증으로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대표적인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인 케이블모뎀과 ADSL 가입자 수가 당초 예상보다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심각한 가입자 적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올 6월부터는 무선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인 LMDS(BWLL) 서비스가 서울 지역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제공될 것으로 보여,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들 세 기술들은 초고속통신망의 당면 목표인 FTTH가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기간 동안 고속 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대표적인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인 xDSL, 케이블모뎀 및 LMDS에 대한 기술을 간단히 소개하고, 국내 시장 동향과 세계 시장 전망 등을 살펴본 것이다. ▒



I. 서 론


최근 정보화 물결과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을 배경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실례로 국내의 경우, 2000년 1월 말 현재 인터넷 이용자 수가 1천 100만 명에 달하여, 국내 인구의 1/4 가량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세계 각국은 이러한 변화를 예상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을 경쟁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의 당면 목표인 완전한 FTTH(Fiber To The Home)는 가입자 댁내까지 무한에 가까운 밴드폭을 갖고 있는 광섬유를 매설하는 것으로, 이의 실현에는 많은 시간과 엄청난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FTTH로 진화해 나가는 과도기적 해결 방안으로 FTTC(Fiber To The Curve /Cabinet), HFC(Hybrid Fiber Coaxial), HFR(Hybrid Fiber Radio) 등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광대역 전송 기술은 광섬유를 가입자 근처까지 매설하고, 여기서부터 가입자 댁내까지는 기존의 통신 인프라를 적절히 활용하여 광대역을 전송하는 개념이다. 현재 고속 인터넷 접속을 위한 과도기적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모뎀, LMDS(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CATV사들은 기존의 케이블 TV 망을 사용하는 케이블모뎀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전화회사는 기존의 동선(전화선)을 기반으로 하는 xDSL을 중점 개발하고 있다. LMDS(국내에서는 BWLL로 알려져 있음)는 무선이라는 장점과 광대역이라는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LMDS는 xDSL이나 케이블모뎀과 같은 유선 전송 방식에 비해 설치 기간이 짧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경제적인 장점을 갖고 있어 초고속 무선 통신을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 점차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 그러나 밴드폭, 양방향성 전송 능력, 네트워크의 신뢰성 등의 측면에서 유선 광대역 전송 기술과 경쟁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독으로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기보다는 위성 광대역 기술과 함께 유선 광대역 기술의 틈새 시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1].



II.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 개요



1.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xDSL은 기존의 동선(전화선)을 사용하여 비디오, 영상, 고밀도 그래픽, 및 Mbps급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모뎀이 3.4KHz까지의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대역만을 이용하는데 반해, xDSL은 훨씬 넓은 주파수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동선을 통하여 수 Mbps에서 수 십Mbps에 이르는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xDSL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전화망에서 사용 중인 동선 선로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과 함께 스플리터(Splitter)를 통해 전화와 모뎀 신호를 분리시키므로 단일 선로를 통해 고속 모뎀과 일반 전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xDSL은 고속 인터넷 접속, VOD, 영상 전화, 원격 강의, 화상 회의, 그리고 상업용 광고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xDSL 기술은 기존의 동선 선로가 광 선로로 완전히 대체될 때까지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체 기술로써, 광 선로로 완전히 대체된 이후에는 이의 보완 기술로써 사용될 수 있으므로, 향후 상당한 기간 동안 이용될 수 있는 기술로 가입자 망의 진화 발전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2].





2. 케이블모뎀 기술


케이블모뎀은 CATV망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고속 데이터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접속장치로서, PC 등 CPE 가입자 장치와 CATV 망의 헤드엔드 장치에 위치하여 양측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링크를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모뎀과 관련하여 MCNS(Multimedia Cable Network System)의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와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의 802.14 WG(Working Group)의 두 표준이 있다. 현재 미국의 주요 케이블 사업자들이 결성한 MCNS가 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MCNS는 지난 97년에 DOCSIS를 발표하였으며, 98년에는 ITU가 이 DOCSIS를 양방향 케이블모뎀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표준으로 확정하였다. 이어 99년 3월부터는 DOCSIS 인증이 시작되어, DOCSIS 인증(Certification)을 획득하기 위해 수 많은 벤더들의 케이블모뎀이 CableLabs에 제출되었다. 지난 해 4월 29일까지만 해도 3Com,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및 Toshiba America 단 3개 벤더의 장비만이 인증을 받았으나, 이후 Arris Interactive 등 10개 케이블모뎀 제품이 잇달아 DOCSIS 인증을 받았으며, 금년에 들어서는 1월 12일 DX Antenna의 제품이 인증을 받음에 따라 모두 14개 벤더의 제품이 DOCSIS 인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시장은 DOCSIS 표준에 근거한 케이블모뎀 제품이 주도할 전망이다[3].


DOCSIS 1.0(Data Over Cable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1.0)은 1997년 7월에 발표되었으며, 이는 1998년 3월에 ITU에 의해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현재 DOCSIS 1.1 및 1.2 규격을 만들고 있다. DOCSIS 1.1의 기능 중 90% 이상은 DOCSIS 1.0(하드웨어와 변조 방식을 포함)에 이미 규정되어 있다. 버전 1.1에서는 QoS(Quality of Service) 부분을 더욱 보완하고, 새로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대한 규격을 추가하는 등 기존 구조에 소프트웨어를 추가한 정도이다. CableLabs은 두 가지 주요 드래프트 즉, RF(Radio Frequency) 인터페이스 규격과 베이스라인 사설(Private) 인터페이스 규격을 발표하였다. DOCSIS 1.2에서는 케이블모뎀의 잡음 면역성을 증대 시키고, 상향 속도를 27Mbps까지 제공하기 위하여 Terayon의 S-CDMA 기술을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Terayon은 현재 자사의 S-CDMA 케이블 모뎀 시스템을 수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3. LMDS 기술


LMDS 시스템은 기지국과 가입자간의 통신로를 무선화하여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정통신시스템으로, HFR(Hybrid Fiber Radio) 기술의 대표적 예이다. 기술적 특징을 보면, 준밀리미터파 대역의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64Kbps에서53Mbps (DAVIC기준)까지의 동적대역 할당 기능을 제공하고, 53바이트의 ATM 셀에 기초한 전송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서비스 반경은 약 2~3km에 이르고 있다. LMDS 망은 다음과 같이 중앙제어국(중심국 혹은 헤드엔드), 기지국(허브 혹은 기지국) 및 가입자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로 구성되어 있다.



LMDS는 28G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동 주파수 대역의 전파 특성상 신호의 손실이 크기 때문에 셀룰러 개념을 도입한 망 구조로 운영된다. 동 기술은 가입자까지의 망 구축을 무선화 하기 때문에 유선망보다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기간도 짧게 소요된다. 또한 디지털 변조 방식을 적용하므로 고화질 서비스가 가능하며, 사용 주파수의 직진성 및 편향파 방식 적용으로 전파 간섭, 반사파 영향 등이 없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무선 가입자망이 아날로그 기술을 이용하여 단순히 음성이나 협대역 데이터 등을 서비스하거나 CATV 등을 한 방향으로 분배하는 것과는 달리, LMDS망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광대역의 주파수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제공한다.



III. 국내 시장 동향



1. xDSL


국내 ADSL 가입자 수가 폭발적인 증가를 거듭하여 작년 말 기준으로 약 12만 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초 예상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ADSL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로통신과 한국통신은 현재 심각한 가입자 적체를 겪고 있을 정도이다. 이에 따라 한국통신은 금년에 최소 80만 내지 100만 ADSL 회선을, 하나로통신은 40만 ADSL 회선을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그 동안 고속 인터넷 시장은 케이블모뎀에 의한 인터넷이 주도해 왔으며, ADSL이 추격하는 양상이었으나, ADSL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와 자금력이 풍부한 두 사업자의 집중적인 투자를 고려할 때, 금년 하반기에 들어서는 상황이 역전될 가능성도 있다[4].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국내 벤더에 의한 xDSL 모뎀 개발도 활기를 띠고 있다. 대기업으로서는 삼성전자, 현대전자, 한화정보통신, 대우통신, LG정보통신 등이 최근 ADSL 모뎀 개발을 완료하였거나 개발 중에 있으며, 중소/벤처 기업으로서는 인터링크시스템, 아이앤티텔레콤 등 10여 개 업체가 지난 해 9~10월 사이에 잇따라 제품 개발을 발표하고, 시장 확대가 본격화되는 2000년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 디지텔, 슈퍼네트, 자네트시스템 등도 ADSL 모뎀을 개발, 1/4분기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국내 ADSL 모뎀 시장의 경우,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시장보다는 ADSL 사업자를 통한 임대 또는 판매가 상당 기간 동안 시장의 중심 축이 될 전망이다.





2. 케이블모뎀


국내에서는 최근 두루넷, 하나로통신, 드림라인, 데이콤 등이 본격적으로 CATV 망을 이용한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작년 12월 현재 케이블모뎀 가입자 수는 모두 약 16만 명에 이르러, 경쟁 서비스인 ADSL을 앞지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지난 해 국내 케이블모뎀 수요가 약 10만 대에 이른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금년에 들어서는 수요가 최소 70만 대, 최대 1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ADSL이 비록 한발 늦게 서비스를 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집중적인 투자를 전개, 향후 격전이 예견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하나로통신이 2000년 6월부터 고속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BWLL)를 개시할 계획임에 따라, 고속 인터넷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격렬해질 전망이다.



케이블모뎀 벤더 동향을 보면, 그 동안 시장을 지배해 온 Motorola와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크로스텍 등 중소 규모 벤더들의 시장 진입이 잇따르고 있다. Motorola는 올해 100만 대 이상, 삼성전자는 50만 대 이상을 각각 판매한다는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 LMDS


국내에서는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BWLL)을 가입자 회선용 주파수인 24.35~24.75GHz 및 25.5~27.5GHz를 이용하는 광대역 양방향 고정 무선 통신망으로 음성 전화, 고속 데이터, 통신 및 방송형 영상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가입자망으로 정의하고 있다. BWLL은 이용 요금에 대한 탄력적 대응이 가능하고 초고속망 서비스 수요가 발생하는 지역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올해 ADSL, 케이블모뎀과 함께 초고속 인터넷 장비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할 전망이다.


최근 하나로통신과 데이콤이 BWLL의 조기 상용화를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당초 2001년 이후로 상용 서비스 제공을 늦추기로 했던 한국통신도 서비스 일정을 앞당길 계획이다. 하나로통신은 3월 초에 현장 테스트를 실시하고 6월부터는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10월부터는 부산, 울산, 인천 등 대도시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에 있으며, 데이콤은 8월부터 상용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한편 이들 두 사업자의 움직임에 자극받은 한국통신도 최근 상용 서비스 개시를 늦추기로 했던 당초 계획을 변경, 경제성이 확보되는 지역을 위주로 서비스를 전개해 나간다는 전제하에 상용 서비스 개시도 다른 두 사업자에 비해 뒤쳐지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국내의 초기 시장도 케이블 모뎀, ADSL 장비 시장과 마찬가지로 Newbridge, Alcatel, Motorola, Telesis 등 해외 장비업체들이 주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LG정보통신, 대영전자, 성미전자 등 국내 장비업체들은 IMF로 인한 BWLL 서비스 실시의 불확실성 때문에 개발을 보류, 아직 상용 제품을 선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서둘러도 내년 초에나 제품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서비스 초기에는 해외 장비업체들이 동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IV. 세계 시장 전망



1. 원격 액세스 시장 개요


원격 네트워크 액세스 시장의 주 고객은 기업 네트워크와 인터넷에 접속할 필요가 있는 재택근로자와 가정 이용자이다. 이들이 원격 액세스를 위해서는 아날로그 모뎀, ISDN, xDSL, 케이블모뎀, LMDS 등 각종의 유무선 장비가 필요하다.


원격 액세스 시장은 일반 가정에서의 PC 보급률 증가로 인한 사용 증가와 인터넷 이용 확대, 기업의 글로벌화로 인한 기업내 자원에 대한 원격 액세스 수요 증가, 재택근무자와 이동 근무자의 원격 액세스 수요 증대, 보다 빠른 서비스 요구의 증대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1998년 현재 570억 달러에 이르는 원격 액세스 시장 규모가 향후 5년간 46%의 복합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 2002년에는 2,650억 달러로 급성장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 고속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써 케이블모뎀과 xDSL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모뎀 및 xDSL과 같은 고속 데이터 액세스 기술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 시장은 전체 액세스 시장의 2%만을 차지, 유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보편적인 이용성, 이동성, 이용 편의성 및 저가를 무기로 아날로그 모뎀이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2003년까지는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xDSL 장비 시장


1998년 기준, CO 포트(DSLAM, CO 스위치 라인 카드 포함)와 CPE유닛(내장형 카드, 외장형 모뎀 및 xDSL 라우터 포함)을 포함한 전체 xDSL 장비 시장 규모(벤더 수입 기준)가 약 3억 2천만 달러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동 시장 규모는 이후 5년간 32.1%의 복합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여, 2003년에는 약 4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 기간동안 CPE 유닛의 출하대수는 64%의 성장률을, CO 포트는 46%의 성장률을 각각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5].



기술별 시장 현황을 보면, 1999년 xDSL 전체 장비 시장의 80.3%(출하대수 기준)를 차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ADSL이 2003년에는 점유율을 더욱 확대, 85.6%로 늘어나는 반면에 SDSL과 IDSL 장비 시장은 1999년 약 18%의 점유율을 보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2003년에는 12%에 그칠 전망이다.



벤더 현황을 보면, 98년 6만 4천 대의 CPE 장비를 출하, 동 부문 벤더 순위 1위를 기록했던 Alcatel이 99년 상반기에 10만 대를 출하했음에도 불구하고, Maxtech의 약진에 밀려 2위로 밀려났다. Maxtech는 작년 상반기에 합계 24만 5천 대의 CPE 장비를 출하함으로써 31.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 1위로 올라서 주목을 받고 있다. Maxtech의 눈부신 성장에 의해 1998년 전체 시장의 약 57%를 차지했던 Alcatel, Orckit, PairGain, Cisco 등 4개 벤더의 시장 점유율이 99년 상반기에는 33.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axtech는 ADSL CPE 장비에 있어서는 4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2. 케이블모뎀 장비 시장


1997년 약 8천만 달러에 이르렀던 세계 케이블모뎀 시장이 1998년에는 187% 성장, 약 2억 3천만 달러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5년간 케이블모뎀의 출하 대수는 36.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여, 2003년에는 출하 대수가 1천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동 기간 동안 장비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전체 수입 규모는 12.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그칠 전망이다[6].



1999년 상반기의 기술별 케이블모뎀 시장 현황을 보면, 현재 벤더 각자의 독자적인 기술에 의한 케이블모뎀의 출하대수가 전체의 75.5%(1998년 92.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OCSIS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모뎀의 출하 점유율이 98년 6.6%에서 24.2%로 크게 증대하였으며, 더구나 2000년 1월 12일 현재 모두 14개 벤더의 케이블모뎀이 Cablelabs의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향후 DOCSIS 기반 케이블모뎀의 출하 대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99년 상반기 동안 케이블모뎀 벤더의 점유율 현황(출하대수 기준)을 보면, Motorola가 33.2%로 단연 두각을 보이고 있으며, Nortel, Com21, Terayon 3개 벤더가 각각 10% 안팎의 점유율을 기록, 이들 상위 4개 벤더의 점유율이 약 7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amsung은 특히 DOCSIS 기반 케이블모뎀의 출하대수에서 Thomson을 근소한 차이로 따돌리고, 21.2%의 점유율을 기록, 1위를 한 데 힘입어 케이블모뎀 전체 시장에서 5.1%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3. LMDS 장비 시장


Dataquest사는 2002년 전세계 WLL 장비 수요가 50억 달러에 이를 것이란 전제하에 LMDS 장비 수요 전망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나리오로 구분, 예측하고 있다. 가장 낙관적인 전망인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2002년까지 LMDS 장비 수요가 세계 WLL 장비 수요의 15%에 이르는 7억 5,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다소 현실적인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전세계 WLL 장비 수요의 10%인 5억 3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으며, 마지막 세 번째 시나리오는 가장 비관적인 전망으로 전세계 WLL 장비 수요의 6%인 3억 2백만 달러에 그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LMDS 장비 시장 규모는 2002년에 이르러 전세계 WLL장비 수요의 6~15%를 차지, 최소 약 3억 달러에서 7.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7].





4. 미국의 LMDS 서비스 시장


1998년 4억 2,700만 달러에 이른 미국의 무선 광대역 시장 규모가 1999년에는 5억 5,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동 시장은 이후 급속한 성장을 지속, 2003년에 이르러서는 72억 달러에, 2005년에는 136억 달러에 각각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미국의 무선 광대역 서비스 시장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88.67%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광대역 무선 서비스 사업자들은 데이터 서비스 수입이 그들의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향후 5년 이내에 30%, 10년 내에 55%~60%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1997년 5백만 달러에 불과했던 미국의 LMDS 서비스 시장이 1999년에 이르러서도 전체 무선 광대역 시장의 1%에 불과한 6백만 달러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무려 282%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 2003년에는 전체 시장의 18%인 13억 달러에 이르고, 이후에도 급속한 성장을 보여 2005년에는 시장 규모가 31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8].



V. 결 론


국내에서는 케이블모뎀과 ADSL에 의한 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당초 예상보다 큰 호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심각한 가입자 적체를 보이고 있다. 금년에 들어서 하나로통신, 한국통신을 비롯한 비롯한 사업자들이 회선을 대폭 확충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장비 공급업체들도 제품 개발 및 판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에서도 최근 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수가 크게 늘고 있다. 지난 해 140만 명에 이르렀던 가입자 수가 금년에는 330만으로 크게 증가하고, 2004년에는 1,660만 가입자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장비 시장도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xDSL 장비의 경우 1999년 14억 달러에 달했던 세계 시장 규모가 향후 5년 동안 32%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 2003년에는 43억 달러에 이르고, 헤더엔드 장비를 포함한 케이블모뎀 세계 시장 규모는 2003년에 약 2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LMDS는 유선 망보다 적은 비용으로 빨리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고, 상당한 대역폭을 확보하고 있어 고속 데이터, 인터넷 액세스, 그 밖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이점을 바탕으로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xDSL과 케이블모뎀을 보완 혹은 대체하는 서비스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Dataquest는 2002년에는 세계 LMDS 장비 수요가 최소 3억 2백만 달러에서 최대 7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이 xDSL, 케이블모뎀 및 LMDS가 주도하고 있는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은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초고속통신망의 당면 목표인 FTTH가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기간 동안 고속 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자 간의 가입자 확보 경쟁과 함께 제조업체 간의 기술개발 및 마케팅 경쟁이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참 고 문 헌>




  1. Susan Welsh de Grimaldo, etc.,World Wireless Broadband: LMDS, MMDS and Broadband WLL, 1999-2008, The Strategis Group, 1999. 3.



  2. ETRI, LMDS/케이블모뎀/xDSL 기술/시장 보고서, 3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시리즈, 1999. 12. 30.



  3. ETRI, DOCSIS 표준 케이블모뎀 인증 동향, 주간기술동향, 제 931호, 2000. 2. 2.



  4. 전자신문, 기사 발췌, 1999. 7. 1~2000. 2. 6.



  5. Kathie Hackler, etc., Worldwide xDSL Market Share and Forecast, First Half of 1999, Dataquest. 1999. 12. 20.



  6. Jouni Forsman, etc., Worldwide Cable Modem Market Share and Forecast, First Half of 1999, Dataquest. 1999. 12. 27.



  7. Brett Sheppard, Prospects for LMDS, Dataquest. 1999. 2. 15.



  8. Tole Hart, etc., North American LMDS Service Market: Broadband Entry into the Local Business Market, Dataquest, 1999. 9. 6.




2001-05-06 02:49:07
1259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