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100M이더넷(Ethernet)의 통신거리 증대

 

100M이더넷(Ethernet)의 통신거리 증대


통신에 있어서 전2중(全二重)이란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같은 전2중 통신을 100M이더넷에서 활용하면, ① 빅파이프에서의 충돌(데이터의 충돌) 발생을 피할 수 있으며, ② 전송 거리(LAN케이블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전2중 통신으로 빅파이프의 속도를 향상


10BASE-T는 허브에 의한 접속을 전제로 한 규격이기 때문에 전2중 통신을 할 수 없다. 10BASE-T를 허브로 접속한 형태에서는 한 번에 1대의 PC에만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허브에 대해 송수신 요구가 동시에 발생하는 일은 없다.


100M이더넷의 규격은 스위치에 의한 전2중 통신을 고려한 것으로서 실제로 전2중 통신기능을 가진 제품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표준규격으로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상호접속성의 문제도 없다.


이더넷에 전2중 통신을 이용하는 최대의 이점은 충돌(collision)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충돌이 일어나는 것은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는 반2중 통신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서버형의 시스템에서는 서버를 100Mbit/s, 클라이언트를 10Mbit/s로 접속하는 이른바 「빅파이프」라고 하는 기법이 흔히 사용된다. 이 기법은 확실한 효과가 있지만 서버 부분에서는 충돌이 발생하기 쉽다(그림 1).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시의 데이터는 폐기되어 재송신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처리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전2중 통신이 가능해지면 서버 부분에서의 충돌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전2중 통신에서는 송수신이 각기 100Mbit/s이므로 합계 200Mbit/s의 처리율을 기대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하나의 칩으로 송수신을 처리하는 제품이 많고 이 칩의 성능에 따라 처리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전송거리는 최대 2km까지 연장 가능


사내망을 구축할 때 중심 건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1세그먼트만 LAN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PC 몇 대 정도만 연결하는 규모라고 해서 백본을 연장한다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지선의 하나를 연장하는 형태로 대처한다.


다만 문제는 옥외 배선이 되어야 하므로 비바람이나 온도 변화 등의 열악한 환경에 견디어 내야 한다는 점과 전송 거리가 길어 진다는 점이다.


지선LAN은 10BASE-T나 100BASE-TX이지만 케이블은 양쪽 모두 UTP(撚線)을 사용한다. UTP는 옥외에서 사용하기에는 약하며 연장거리도 100m까지라고 하는 제약이 있다.


100BASE-FX라면 옥외용의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며, 최대 연장 거리도 400m에 이른다.


그렇지만 스위치나 허브의 포트 단가는 일반적으로 100BASE-TX보다 100BASE-FX 쪽이 비싸다. 또한 100BASE-FX를 지원하지 않는 제품도 많이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거리 연장 등의 요건으로 100BASE-FX가 필요한 경우에는 TX와 FX를 교환하는 「미디어 컨버터」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전송 거리를 400m이상으로 하고 싶은 경우는 전2중 통신에 대응하는 스위치와 100BASE-FX를 사용한다(그림 2).








간단한 용어해설


☞ 전2중


통신 분야에서는 송신과 수신을 상호 행하는 것을 반2중,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을 전2중이라고 한다. 원래 1대 1 통신에서의 용어로서 10BASE-T나 100BASE-T의 규격을 반2중이라 하는 일은 없지만 동시통신의 규격은 전2중으로 일컫는다.


☞ 100M 이더넷


전송 매체에 의해 100BASE-TX와 100BASE-FX의 2개의 규격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100BASE-TX는 카테고리5의 UTP (연선)을 사용하며, 100BASE-FX는 광케이블을 사용한다.


☞ 충돌(collision)


단일 전송로상에서 복수의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 발생하는 데이터 신호의 충돌. 데이터가 전기신호의 레벨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통신이 단절된다. CSMA/CD 방식의 LAN에서는 충돌을 회피하거나 충돌이 발생한 때의 복구 구조를 MAC(매체 접근 제어) 층의 기능으로서 실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가 전송로상에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고 다른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데이터를 송신한다.


☞ 100BASE-T규격에서는 전2중 통신이 불가능


메이커 독자 규격이라면 스위치간을 전2중으로 접속하여 20Mbit/s의 대역을 갖게 한 제품(스위치)도 존재한다.




2001-05-06 02:51:12
1998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