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게 게시물을 올릴수있는 게시판입니다.
  • 유년추억
  • 학교생활
  • 입시준비
  • 대학생활
  • 군생활
  • 알바생활
  • 취업준비
  • 직장생활
  • 원룸생활
  • 연애중
  • 결혼준비
  • 집안살림
  • 자녀교육
  • 창업준비
  • 이민유학
  • 노후생활
  • 전체보기


프로바이더의 역할과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역할과 서비스


통상 「프로바이더」라고 지칭하는 인터넷 접속사업자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먼저 다른 프로바이더나 인터넷 상호접속점(IX: internet exchange point)과 전용선 등으로 접속하여 인터넷상의 각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며, 다음은 인터넷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를 자사(自社)의 통신 설비내로 수용하는 일이다(그림 참조). 즉, 프로바이더가 이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완수함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넷상의 모든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첫번째 역할은 프로바이더가 NOC(Network Operation Center)를 개설하고 그 안에 라우터를 설치하는 일로서 라우터는 전용선을 매개로 다른 프로바이더의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라우터가 계속해서 IP패킷을 중계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상의 어느 호스트와도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 NOC에는 이 밖에도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나 사용자 인증용 서버, 과금/장애관리용 서버 등 각종 서버류가 설치되어 있다.


두번째는 프로바이더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라고 하는 설비를 준비하는 일로서 액세스 포인트에는 라우터나 액세스 서버 등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통신기기와 이들 기기가 접속된다.





이용하는 회선별로 서비스 메뉴를 준비


프로바이더는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해 인터넷 접속서비스를 제공한다. 접속서비스는 크게 2개로 나뉘어 진다<표>. 필요에 따라 전화를 걸고 인터넷으로 연결하는「다이얼업 IP접속서비스」와 상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전용선형 IP접속서비스」이다. 사용자는 다이얼업 IP 접속서비스의 경우에는 ISDN이나 가입전화를, 전용선형의 경우는 각종 전용선서비스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한다.



다이얼업 IP접속서비스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간이 짧으면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이얼업 서비스에는 사용자측에서 이용할 수 있는 IP어드레스의 수에 따라 LAN형과 단말형의 두 종류가 있다.


LAN형은 사용자측에서 복수의 IP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다이얼업 서비스이다. LAN상에 연결된 복수대의 PC가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단말형에서는 프로바이더가 사용자에게 IP어드레스를 1개밖에 할당하지 않으므로 1대의 PC만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얼업 IP접속서비스는 요금은 저렴하지만 기본적으로 프로바이더가 사용자측에 전화를 걸 수 없다는 불리한 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인터넷에서 송신되는 메일을 사용자측에서 수시로 받아볼 수가 없다. 또한, WWW서버를 사용자측에 설치한다고 해도 인터넷으로 부터의 액세스가 불가능하다. 사용자측에 설치한 메일 서버나 WWW서버가 항상 액세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용선형을 이용하게 된다.


다만, 전용선형은 사용자가 부담하는 회선이나 접속서비스 요금이 다이얼업 서비스에 비해 고액이므로 저렴한 다이얼업 IP접속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메일 서버를 사용자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측에 전화를 거는 형태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바이더도 있다.


이 밖에 홈페이지의 발신대행, 인터넷숍의 형태를 제공하는「호스팅 서비스」나 fire-wall의 설치대행, 암호화통신 등도 폭넓게 제공되고 있다.







간단한 용어해설


☞ 인터넷 상호 접속점(Internet Exchange Point)


IX라고 약칭한다. 프로바이더간에 걸쳐 전송되는 IP패킷을 1개소에서 중개하기 위해 마련하는 설비. 현재 일본에서는 WIDE프로젝트의 실험으로서 NSPIXP (network service provider internet exchange point)가 운용되고 있다. 이 밖에, MEX와 JPIX가 상용 IX를 제공하고 있다.


☞ NOC(Network Operation Center)


통신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하는 설비. 망을 감시하는 기능 등이 있다. 백본 망의 각 거점마다 두는 설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호스팅 서비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속 사업자(프로바이더)가 WWW서버의 디스크 스페이스의 일부를 임대하여 사용자의 Web사이트로서 이용하게 하는 서비스를 가리킨다.




2001-05-06 03:11:00
1248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