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아래그림과 같이 DNS구성을 눌러주세요
==> 여기서 DNA 는 어느약자 인가요?..나도 혼돈이 오는 군요!!
Domain Name System 인가요, Domain Name Server 인가요?...
답변 : 위에 DNA라고 쓴적이 없는데요? ^^
기타 의견에 대한 답변
여하튼 기타 의견에 대하여 자세히 정리하셔서 FAQ에 올려주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강좌 내용중에 틀린내용 있는 것 같아서.: atom(atomsi@yahoo.co.kr) ┼
│ 안녕 하세요?..
│ 여기에서 좋은 자료 많이 보고 갑니다..
│
│ 그런대 강좌 내용중에 제가 알고 있는 내용과 틀린 점이 있어 문의 함니다..
│ 해당강좌의 주소는 //www.bcpark.net/home/comm/comm009.htm
│ 이고 ① 정보 & 강좌 -> 초고속 인터넷 이야기 ->네트워크환경 설정방법 (Windows 98)강좌
│ 의 설정방법에서
│
│ 3) . 아래그림과 같이 DNS구성을 눌러주세요
│ 유동 아이피 사용하시는 분은 위 그림과 같이 DNS사용안함으로 선택하세요.
│ (참고로, 케이블 모뎀의 경우 고정아이피 사용자와 같이 설정하셔도 됩니다.)
│ 고정 아이피를 사용하시는 분은 DNS사용으로 선택하시고, 각 항목에 대해 정확한 값을 넣어야 합니다.
│ ==> 여기서 DNA 는 어느약자 인가요?..나도 혼돈이 오는 군요!!
│ Domain Name System 인가요, Domain Name Server 인가요?...
│
│ ==> 그리고 저의 의견 : 유동 IP사용자(한통 ADSL -DHCP서비스)도 해당 서비스 ISP 의 DNS 를 정확히 적어주면 웹페이지의 이동시나 빨라지고, 평소 접속이 되지 않던 웹페이지가 접속 되어지더군요..
│ 그런데 케이블 모뎀의 경우만 언급하여 ADSL -DHCP서비스에서는 않댄다는 의미로 받아지는 군요!
│ 제가 틀린 것 입니까?...
│
│ 6. 유동아이피를 사용하시는 분은 위 그림과 같이 자동으로 IP 주소 지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유동 아이피 사용자가 IP주소를 아무거나 넣으면 당연히 인터넷이 안됩니다.)
│ 고정아이피를 사용하시는 분은 당연히 자신의 IP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 (다른 사용자의 아이피를 넣으면 충돌이 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
│ ==> 여기에서도 틀린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
│ 유동 IP에서(ADSL -DHCP서비스)도 지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현재 한통과 ADSL 사용자 모임에서 렌카드 설치후 부팅속도의 현저한 저하 현상이 발생하면 아래의 방법을 권하고 있습니다.
│
│ "TCP/IP 등록정보"에서 할당된 IP주소 사용을 선택한 후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적당히 적어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적어 주십시오.
│ IP주소 10.0.0.0 ~ 111.111.111.1중에 하나 사용. (아무거나 이 범위 안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어느 분은 현재의 자기 컴퓨터에 뜨는 유동IP를 적어주시는 분이 있는데, 여기서는 그런 유동IP를 뜻하지는 않습니다.)
│ 서브네트 마스크에는 255.0.0.0 ~ 255.255.255.0 을 입력
│
│ 현재 저도 이와같은 방법으로 설정하여 1년6개월을 사용해도 인터넷 접속을 아주 잘되거든요!
│ 그리고 부팅 속도도 물론 빠르고 말이죠. 원인은 부팅시 렌카드의 IP를 찾아서 검색하는 불필요한 단계를 건너 뛰기 때문이고요, 즉, 이렇게 부팅이 지연되는 현상을 없애려고 네트워크 환경을 가짜로 만들어 주는 것으로 임의의 고정 IP(가상IP)를 부여 해주기만 하죠.
│
│ 네트워크 접속은 어차피 ADSL, 케이블 렌 을 통해 임의의 IP를 받은 후 가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설정에 넣어주는 IP는 사실 의미가 없습니다. 단지 부팅시의 속도가 정상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
│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은 지적을 바람니다..
│
│ 여기 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 함니다..
│ 여기에 있는 자료들은 참 좋은 내용이 많내요, 앞으로 자주 들려 공부하도록 하죠...^^
│
│
┼ ┼